안녕하세요?
다양한 AI도구를 활용하여 인물 이미지를 생성할 때 영상에서 본 바와 같이 이미지의 일부분이 잘려서 속생할 때가 간혹 있는데요.
오늘은 잘린 이미지를 복구할 수 있는 AI도구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AI 이미지의 일부분이 잘린 이미지 복구 방법 소개
1. Bing의 Image Creato 실행하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AI도구에는 다양하지만 오늘은 마이크로소프트의 Image Creator를 활용하여 생성해 보겠습니다.
네이버에서 검색창에 [마이크로소프트 빙]을 기록하고 검색을 누르면
아래쪽에 무료 AI 이미지 생성기 - Bing의 Image Creator가 보입니다.
이것을 눌러 주세요.
2. Bing의 Image Creato 로그인하기
먼저 [가입 및 만들기]를 누른 다음 마이크로소프트 [개인 계정]으로 로그인을 누릅니다.
만일 계정이 없다면 만들어 사용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개인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먼저 ID를 입력합니다.
다음을 누릅니다.
비밀번호를 입력 후 로그인을 누릅니다.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겠습니까?에서 다시 표시하지 않음에 체크합니다.
그리고 예를 누릅니다.
3. 이미지 생성 내용 입력하기
이곳에 이미지 생성을 위한 내용을 입력합니다.
내용을 입력한 다음
[만들기]를 누릅니다.
생성된 이미지를 확인합니다.
4. 생성된 이미지 다운로더
이미지를 하나 하나 선택한 후 [다운로드] 합니다.
저는 머리 부분이 잘린 이미지만 다운로드 해 보겠습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5. Adobe Firefly 실행하기
다시 네이버로 가서 [어도비 파이어플라이]를 검색합니다.
아래에 있는 [Adobe Firefly]를 누릅니다.
이어서 [Firefly 생성하기]를 누릅니다.
초기화면에서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아래의 [생성형 채우기]를 선택합니다.
6. Adobe Firefly 로그인하기
이어서 로그인을 누릅니다.
구글로 로그인을 선택하고 로그인합니다.
동의하기가 나오면 동의를 누릅니다.
이어서 닫기를 누릅니다.
7. 잘린 이미지 불러오기
로그인을 하였기 때문에 다시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생성형 채우기를 선택합니다.
이미지 업로드를 누릅니다.
복구할 이미지를 찾아 열기를 누릅니다.
8. 잘린 이미지 생성형 채우기
생성형 채우기 시작하기를 누릅니다.
좌측의 확장을 선택합니다.
복구할 영역에 맞추어 이미지 비율을 선택하고 영역을 추가합니다.
특히 머리부분을 복구할 경우 세로 3:4를 선택합니다.
복구할 영역이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하기를 누릅니다.
복구작업이 진행되고 있고요.
드디어 3종류로 복구되었고
차례로 눌러 보면 복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닫기를 눌러주시고요.
9. 복구 완료된 이미지 다운로더
상단 우측의 다운로드를 눌러 저장합니다.
다운로드 폴더로 이동하여 확인해 보겠습니다.
처음 복구 전의 모습이고요.
최종 복구 후의 완벽한 모습입니다.
10. 추가 잘린 이미지 복구하기
다시 웹 화면으로 돌아가서
새로운 복구작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먼저 좌측 상단의 [생성형 채우기] 앞의 화살표를 누릅니다.
이미지를 업로드합니다.
복구할 이미지를 선택하고 열기를 누릅니다.
좌측의 확장을 선택합니다.
복구할 영역에 맞추어 이미지 비율을 선택합니다.
세로 3:4를 선택하고 생성하기를 누릅니다.
생성 중에 있고요.
복구 완료 후 확인하고 다운로드합니다.
11. 이미지 복구 예시보기(위 영상 참조)
이번에는 제가 작업한 복구 이전 모습과 복구 이후의 모습들입니다.
참조해 주십시오.
Adobe Firefly는 무료로 로그인 후 약 10개 정도 생성할 수 있고요.
더 많은 작업을 하고 싶다면 유료로 가입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떠셨나요?
어도비 파이어플라이어가 최근에 업데이트 되면서 좀더 쉽고 간편하게 잘린 부분을 복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누구나 쉽게 접근해서 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사진 수정 편집이나 디자인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 글과 영상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랑 친구 될 수 있을까? 인간과 AI의 관계에 대한 깊은 탐구 (56) | 2025.03.01 |
---|---|
AI가 바꾸는 미래,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58) | 2025.02.28 |
삼성 비스포크 로봇청소기 VR7MD965GRPW97 사용후기 (26) | 2025.02.24 |
노래 검색하는 방법 (6) | 2025.02.22 |
윈도우 11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삭제 및 로컬 계정 전환 방법 소개 (6) | 2025.02.22 |